체코 언론의 영부인 김건희 관련 기사, 영부인 김건희의 해외 순방은 국익에 도움이 될까?
세상의 정보가 인터넷으로 퍼지면서 권력의 통제를 벗어나고 있다. 물론 북한과 중국처럼 극소수의 국가가 언론을 통제하고 있지만, 세상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언론과 SNS를 통해 정보가 자유롭게 흐르고 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대한민국의 호감도가 세상으로 넓게 퍼지고 있다. 그러나 감추고 싶은 이야기도 세상으로 퍼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영부인 김건희 여사에 관한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최근 국빈 방문한 체코의 제1위 타블로이드 신문인 <블레스크’(BLESK. 번개)>는 김건희 여사의 세금 체납, 표절, 학력 위조, 주가조작, 그리고 검찰 부실 수사 의혹 등을 상세히 소개했다. 이 기사가 국내에 보도된 후, 체코 주재 한국대사관의 항의와 수정 요청으로 기사는 일부 내용이 수정되었다. ‘사기꾼(podvodnik)’ 같은 매우 민감한 부분을 상당 정도 삭제하고 해명을 일부 추가한 것이다. △사기꾼(podvodnik) 관련, △뉴욕대 스턴 경영대학원 허위 학력 관련, △사과 기자회견 및 내조 전념 약속, 윤 대통령의 제2 부속실 폐지 약속 관련 내용이 삭제되었다. 그러나 <블레스크>의 에바 심코바 부편집장은 “'사기꾼'이라는 단어는 이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