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24일 니카타현 사도섬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사도광산 추도식’을 단독으로 진행했다.
한국 정부와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은 일본 정부 대표인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의 과거 야스쿠니 신사 참배 전력 등을 이유로 추도식에 불참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이날 일본 정부·시민단체 인사들만 참석한 추도식에서 1940년대 사도광산에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가 있었다며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회 상황에서라고 해도,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면서 갱내의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했다”고 말했다. 미사여구로 포장된 추도사지만, ‘강제노동’이라는 표현은 담기지 않았다.
사도광산의 ‘강제성’을 어떻게 기록으로 남길지 구체적인 합의 없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동의하며 ‘굴욕 외교’ 논란을 낳을 때부터 예고된 것이다.
외교부는 추도식 하루 전인 23일 “사도광산 추도식을 둘러싼 양국 외교당국 간 이견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치 않다”며 “제반 사정을 고려해, 추도식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외교부는 ‘제반 사정’이 무엇인지 명확히 설명하지 않았다.
일본 대표인 이쿠이나 정무관의 과거 야스쿠니 신사 참배 경력과 추도식·추도사 등에 강제동원 인정과 피해자 추도 내용이 제대로 담기지 않은 상황이 문제다.
사도광산 추도식 파행의 근본적인 원인은 지난 7월 강제동원 역사가 사실상 삭제된 상태로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동의해준 한국 정부에 있다.
일본은 당시 사도광산 관련 시설에 ‘전체 역사’를 담겠다고 했지만 ‘강제동원’은 명시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한국 정부는 “(중요한 건) 일본이 전체 역사 반영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했다는 것”이라며, 일본 정부가 매년 열기로 한 강제동원 피해자 추도식을 성과로 내세웠다. 특히 추도식엔 일본 정부의 고위급 인사가 참석하기로 했다며 “어음 대신 현찰을 받은 협상”이라고 자화자찬했다.
그러나 이후 구체적인 협상 과정에서 일본이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축하하는 뜻으로 ‘감사’를 행사 명칭에 넣겠다고 요구하고 한국이 이를 거부하면서 ‘강제동원’이 빠진 ‘사도광산 추도식’으로 결정됐다.
일본의 ‘약속’만 믿었다가 뒤통수를 맞은 데 이어, 추도식 협상에서도 참석자나 추도사 등 내용 확인 없이 날짜부터 덜컥 합의한 결과다.
윤 대통령이 “절반 채운 잔, 나머지는 기시다 총리가 채울 것”이라 했지만, 일본은 그 어떤 것도 채우지 않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의 처참한 외교로 사도광산 추도식이 강제동원 피해 노동자 추모가 아니라 일본의 유네스코 등재 축하 행사로 전락했다”라며, “1500여명의 조선인 강제동원은 사라져버린, 대한민국 정부 스스로 일본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한 최악의 외교 역사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그동안 참 많이 퍼줬다. 독도도 퍼주고 역사도 퍼주고 위안부도 퍼주고 강제동원도 퍼주고 군사협력도 퍼줬다”라며 “이런 저자세 퍼주기 외교의 결과가 바로 사도광산 추도식 참사”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앞두고 있다”며 “일본 정부의 계속되는 역사 왜곡, 그리고 그에 부화뇌동하는 한국 정부의 굴욕외교 상황이 계속되면 미래 지향적이고 정상적인 한·일관계는 있기 어렵다”라고 밝혔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