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국가안보보좌관 윤석열 대통령에게 경고

트럼프 인수팀의 윤석열 정부에 대한 ‘경고’가 나왔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지명된 공화당의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은 24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최근 우크라이나 전황에 대해 “지금 한국은 어떻게든 개입하는 것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라고 말한 뒤 “도널드 트럼프 당선자는 이 분쟁을 끝낼 필요성에 관해 매우 분명히 해왔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윤석열의 ‘확전’ 시도는 트럼프의 ‘종전’ 방침에 반하는 것이라는 경고다.
왈츠 지명자는 내년 1월 20일 취임 때까지 현 바이든 행정부와 ‘한 팀’이라고 말한 뒤 “우리가 논의해야 하는 것은 합의든 휴전이든 누가 협상 테이블에 앉느냐, 어떻게 하면 양측을 테이블에 앉힐 수 있느냐, 그리고 거래의 틀을 어떻게 하느냐다”라고 말했다.
왈츠는 “트럼프는 확전이 모두 어디로 갈지 매우 걱정해왔다. 북한이 움직였다면, 우리도 움직였고, 러시아는 이제 대응했고, 이란이 개입됐고, 한국이 개입을 생각 중이고 우리 동맹들이 지금 미사일의 사정거리를 늘렸다”라고 현황을 설명하고 “우리는 이를 책임 있게 끝내야 한다. 억지력과 평화를 복원하고, 이 확전에 대응하기보다는 앞질러 가야 한다”라고 강조해 확전을 꾀하는 바이든과는 다른 종전이나 휴전 입장을 분명히 했다.
푸틴의 윤 정부에 대한 최후통첩

비슷한 시기에 윤 정부에 대한 러시아의 최후통첩성 경고가 나왔다. 안드레이 루덴코 외무차관(아시아 담당)의 24일 타스 통신 인터뷰에서 “만약 한국의 무기가 러시아 시민을 죽이는 데 사용된다면 우리 양국 관계를 완전히 파괴할 것이라는 점을 서울은 깨달아야 한다. 물론 우리는 필요하다고 보는 모든 방법으로 대응할 것이다”라고 강력하게 경고했다.
그는 윤 정부를 향해 우크라에 살상 무기 지원 말 것, ‘레드 라인’인 살상 무기를 지원하면 한·러 관계는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 경고했다.
구체적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윤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게 되면 러시아는 한국에 대해 외교관계 단절에서부터 군사적 조치까지 취할 가능성이 크다.
구체적으로는 북한과의 군사 협력을 더 강화하고 군사정찰위성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핵추진잠수함 등의 첨단 군사기술을 북한에 이전할 가능성도 있다.
루덴코는 “한국 정부가 외부의 부추김에 따른 단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인 고려가 아니라, 장기적 국익을 우선으로 해서 행동하길 바란다”라면서 냉정한 상황 평가와 “무모한 조치” 자제를 촉구했다. 그동안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등 러시아 지도부 인사들이 살상 무기 제공을 한러 관계의 ‘레드라인’으로 삼고 그걸 넘으면 “파탄 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최근 윤 정부가 우크라이나와 협상을 가속하면서, 러시아는 한국의 살상 무기 인도 결정이 임박했다고 보고 최후통첩을 날린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는 그간 호혜적인 우호 관계를 쌓아온 핵보유국 중국과 러시아를 적대적 관계로 돌려세운 것이다.
우크라이나 참전으로 국내 정국을 돌파하려는 윤석열 정권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파견한 특사단을 접견했다.
루스템 우메로프 우크라이아 국방부 장관이 이끈 특사단은 한국 정부의 무기 지원을 요청하려는 것으로 외교가는 이해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특사단에게 “북한의 러시아 파병 등 러-북 군사협력으로 인한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한국과 우크라이나가 실효적인 대응 방안을 강구해 나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우메로우 특사는 “러-북 군사협력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과의 협력 방안을 적극 모색하라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범정부 대표단을 이끌고 방문했다”라며 “앞으로 한국과의 제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길 희망한다”라고 했다.
대통령실은 “양측은 북한의 러시아 파병과 러-북 간 무기·기술 이전 정보 공유를 지속하면서, 우방국들과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향후 무기 지원에 관한 확실한 거부나 입장을 밝히지 않아 국민을 불안케 하고있는 것이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