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피해 주민 70여 명은 22일 국회를 찾아 재발 방지 대책 마련과 접경지역 대규모 연합 훈련 중단을 촉구했다.
최현철 포천 전투기 오폭 피해대책위원은 “80세 이상 어르신 100여 명이 PTSD로 치료를 받고 있지만 국가의 지원은 전무하다”라며 “국방부와 포천시는 피해 회복 의지가 없으며, 심지어 훈련 사전 통보 요구조차 묵살당했다”고 비판하고 “즉각적인 의료·심리 지원, 군 유휴지 활용 보장, 훈련 안전 제도화, 특별 보상 마련이 필요하다”라며 정부의 책임 있는 사과와 대책을 요구했다.
이명원 포천 청년회장은 “사고 초기에는 모든 것을 보상할 듯하더니 사태가 잠잠해지자 정부와 군은 발을 빼고 있다”라며 “과도한 훈련이 주민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의 땜질식 대응이 아닌 근본적 해결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강 의원은 “훈련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것이지, 주민을 공포와 피해로 내모는 수단이 될 수 없다”라며 “오폭 사고는 단순한 실수가 아닌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라고 “한미동맹이 국민 희생 위에 세워져서는 안 되며, 재발 방지와 주민 안전 보장이 최우선”이라며 대규모 한미 연합 훈련의 전환을 촉구했다.
당시 사고는 2022년 한미연합훈련 ‘자유의 방패’와 연계된 사전 훈련 과정에서 벌어진 것으로, 공군 소속 조종사가 표적 좌표를 잘못 입력해 민가에 폭탄 8발을 잘못 투하했다. 이로 인해 민간인 38명과 군인 14명, 건물 196개동 등이 피해를 입었다.
포천 전투기 오폭 피해대책위는 발생한 포천시 전투기 오폭 사고와 관련하여 피해를 본 주민들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된 단체로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피해 보상, 재발 방지, 안전 대책 등을 요구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